우리가 강현무 뇌에 들어가서 접속하지 않는 이상 강현무가 봤는지 방해받았는지 아님 못봤는지 확실히 알수가 없음
그래서 오프사이드 규정도 키퍼가 볼을 봤냐 안봤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골키퍼와 슛하는 선수 사이의 시야가 방해받았을 가능성이 있나 없나가 더 중요함
KFA 규정집에는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는 공격 선수(A)가 골키퍼의 시선을 방해하고 있다. 그는 상대 선수가
볼을 플레이하거나 플레이할 가능성을 방해했기 때문에 처벌을 받아야 한다.]
라고 번역되어 나와있음
골 취소장면임. 키퍼가 볼을 못봤나? 반응속도 보면 100% 봤음
근데 '방해' 받았기 때문에 골 취소임. 이게 굉장히 주관적이라
키퍼랑 슛하는놈 사이에 일직선 그어서 있는 공격수놈이 오프사이드 위치면 죄다 오프사이드가 정심이라고 보면 됨
(근데 확률상 존나 낮음. 생각해봐 축구장이 존나 넓은데 일직선 그어서 키퍼랑 슛터사이에 공격수가 있고
그놈이 또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을확률 존나게 낮음. VAR도입 안됐으면 잡아낼수도 없을거고. 그래서 사례가 많지는 않음)
개인적으로는 강현무가 이미 자빠진 후라 대응할 가능성이 0에 가까워서
온사이드라고 생각하는데, 일단 시야 가렸으니 오프야 하면 할말없음
그렇기 때문에 타가트 위치로 따지는게 수원입장에서는 더 나을거다
왜냐 애매하면 원심유지거든
근데 누가봐도 타가트 위치가 오프위치인지 확실치 않아보여서
애매하면 원심유지해야 하는데 오프선언해버려서
이게 좀 이상하다고 봄
오늘은 슈팅할 때 공과 골키퍼 사이의 일직선에 타가트가 없는걸로 보이는뎅;
정확한건 정면 샷이 나와봐야 알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