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침묵하던 여성가족부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자, 장관 주재 회의가 긴급 소집됐습니다.
박 시장의 성추행 의혹이 터진 지 7일 만에 여성폭력방지위원회를 열고, 피해자 보호 대책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신새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박원순 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한 여가부 침묵이 길어지자, 정치권은 매서운 질타를 쏟아냈습니다.
<김현아 /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 "여성가족부 해체를 건의합니다. 3년에 걸쳐 이같은 행태가 반복하는 동안 과연 여가부는 무엇을 하였습니까."
해체론까지 언급되자, 여성가족부 장관은 부랴부랴 긴급 회의를 소집하고, "책임을 통감한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이정옥 / 여성가족부 장관> "성희롱ㆍ성폭력 예방과 피해자 보호를 담당하고 있는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정말 마음이 무겁고 깊은 책임을 통감하고 있습니다."
여성폭력방지정책의 중요사항을 심의ㆍ조정하는 위원회 소속 민간위원들도 여가부의 앞선 대응에는 아쉬움을 드러냈습니다.
<이수정 / 경기대학교 교수> "(여가부 대응) 안타까운 부분이 있었으나 이제 제대로, 올바른 방향으로 갈 것으로 기대되서… 왜 강도 피해자나 사기 피해자는 피해자라고 불러주면서 성범죄 피해자는 피해자로 불릴 수 없나요, 그게 너무 안타까웠어요."
무엇보다 '피해 호소인'등의 호칭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라는 문제를 공유하고,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또 선출직 기관장이 가해자가 된 경우 수사권이 있는 제3의 기관이 이를 감시할 필요성이 있다는 제도 개선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422/0000438461?ntype=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