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으로 3인갱을 감. 이 시점에서 봇은 엄대엄.
킹각선의 법칙에 따라 다이브를 예상해서 라인을 버리고 타워 뒤로 쭉 빠지는 DRX 봇듀오.
실제로 그브가 카정을 와 있었고 라인에 붙어있었으면 위험했을듯
어느정도 위험이 해소되어 복귀했지만 CS를 보면 2라인 만큼의 차이가 벌어짐.
물론 남아있는 미니언을 먹으면 1라인 차이가 나지만 이미 주도권을 완전히 빼앗겨 버림.
이 상황에서 담원 봇듀오는 먼저 집으로 귀환했고 DRX는 남아있는 미니언을 지운 후에야 귀환할 수 있었음
서로 집에 가서 템을 사왔지만 먼저 집에 갔기 때문에 라인에 먼저 도착해서 주도권을 쥔 아펠. 심지어 BF까지 나옴.
반면 세나는 라인 도착도 늦었고 사온 템도 여눈 + 수확이라 딜교 자체가 성립하지 않고 타워 옆에 붙어서 받아먹기만 해야 됨.
결과적으로 DRX의 탑 3인갱을 통해 오른을 잡아낸 댓가로
원딜간의 CS차이, 타워채굴, 쓰레쉬가 자유롭게 로밍을 다닐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짐.
이후에 봇에서 대규모 교전이 열렸지만 여기서도 손해를 봤고 라인전 답없다고 생각해서 전령들고 탑으로 올라가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게 아닌가 싶음.
조별리그 1라운드 DRX vs TES 경기에서 퀸 뽑았다가 졌는데 그때 강퀴가 한 말이 있음.
지금 스플릿챔피언들은 모순되어 있다. 무조건 팀이 탑을 케어해줄 수밖에 없고 그러면 반드시 봇이 망한다.
그러면 탑을 제외한 본대의 힘싸움이 밀리고 그 때문에 스플릿을 못한다.
이번 경기는 퀸 vs 레넥에서 챔피언만 잭스vs오른으로 바뀌었을 뿐 똑같은 패턴으로 진 게임이라고 생각함.
듀마갤러가 뎁케듀오에 과몰입해서 쓴 글로 밖에 안보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