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히카리 - 현재 가장 보편화되어있으며 품질 또한 한·일 모두 최고로 치는 일본품종 쌀. 비교적 키우기는 어려운 품종이지만 윤기나 광택도 좋고 쌀의 맛도 진해 맛있는 쌀 품종의 대명사격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수도권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다만 추청(아끼바레)과 마찬가지로 국산 품종 장려를 위해 종자 보급을 줄여나가고 있으며 2023년에는 정부의 종자 보급을 완전히 중단할 계획이다. -위키
글피나흘 농촌진흥청이 아키바레·고시히카리·히토메보레 등 일본 벼 품종을 우리 논에서 퇴출시키는 사업을 전개한다. 농진청은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일본 벼 품종을 우리 벼 품종으로 대체해 나가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우선 2020년 기준 5만6000㏊인 일본 벼 품종의 재배면적을 2024년까지 1만㏊ 이내로 줄여나가기로 했다.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2008061104001&code=920100#csidx27bdf4d836073bfab135c2a04c50b68
Kirr234 여기서 머저리들이 퇴출을 이해한 건 못 키우고 못 팔게 만든단 거 아냐. 그런 적 없다고 병신아. 키우고 싶으면 따로 사서 키우면 된다고. 알간? 걍 보급을 줄여나간다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데 일본품종 관련되니까 기자가 퇴출이라고 자극적인 워딩 쓰는 거지 병신아
Kirr234 처음부터 국가 주도로 벼농사 했고 고시히카리같은 구시대 품종은 더 이상 경쟁력 없다 싶으니 다른 품종으로 대체하겠단 건데 이렇게 대체하는 건 이전에도 쭉 있어왔던 일인데 왤케 발광하는 건데? 만든 지 50년 됐고 고시히카리라고 말해주지 않으면 인터넷 일뽕들 말고는 어떤 게 고시히카리인지 모르는 게 실정인데? 사고 싶으면 따로 일본에서 직구하거나 아예 그렇게 하도록 국내 농촌에 투자를 하던가. 그냥 순리대로 진행돼 가고 있는 사업 가지고 왤케 지랄인 건데?
최상급 레스토랑으로 일본쌀 많이 쓰던데... 밥이 별 문제 안되는 메뉴는 상관없는데 밥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메뉴는 쓴다고함... 품종 자체가 달라서 어쩔 수 없다고... 근데 ㅈㄴ 비싸서 일반인들은 엄두도 못내지 국내 들어와있는 일본산 품종이 아니더라 일본 현지에서만 유통된다고하고 일본에서도 고급급에서만 유통되니 한국으로 수입하려면 좀 비싸지겠지
https://1boon.kakao.com/realfood/ricekj
https://imnews.imbc.com/replay/2019/nwdesk/article/5454783_28802.html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20/2019092001593.html